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
텍스처 머터리얼과 파라미터 머터리얼의 차이와 이해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12. 17:22
📌 언리얼 엔진: 머터리얼 인스턴스를 활용한 나이아가라 텍스처 변경 방법머터리얼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텍스처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고 최적화된 VFX를 제작할 수 있다.본 포스팅에서는 머터리얼 인스턴스를 활용하여 나이아가라 시스템에서 텍스처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다룬다.또한, 텍스처 기반 머터리얼과 파라미터 기반 머터리얼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실제 적용 방법을 설명한다.1️⃣ 머터리얼 인스턴스란?머터리얼 인스턴스(Material Instance) 는 부모 머터리얼(Material Parent) 을 기반으로 생성되며,컴파일 없이 즉시 텍스처, 색상, 파라미터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머터리얼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이유✔ 머터리얼을 다시 컴파일하지 않고도 텍스처를 변경 가능✔ 동일한 머터리얼을..
-
머터리얼 커스텀 생성 방법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12. 14:33
1️⃣ VFX를 위한 텍스처 준비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서 **"Realistic Starter VFX Pack"**이라는 무료 팩을 사용.이 팩에는 다양한 VFX용 텍스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더 정교한 효과를 만들 수 있음.과정:프로젝트에 VFX Pack을 추가.Textures 폴더만 복사하고 원본 팩은 삭제.새로운 텍스처 폴더 생성 후 정리 (예: Realistic_VFX_Textures).2️⃣ 새로운 머티리얼(Material) 생성언리얼 엔진의 **머티리얼 에디터(Material Editor)**에서 새로운 머티리얼을 생성.VFX에 사용할 텍스처 (예: T_Tenderloin 텍스처) 를 가져와서 머티리얼에 적용.3️⃣ 머티리얼 설정 (Blend Mode & Shading Mode..
-
자주 사용되는 힘 모듈 정리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11. 16:53
1. Add Force (힘 추가)한글 해석: 파티클에 힘을 추가하는 함수설정 옵션:Force (힘) (Vector3, 3차원 벡터) → 적용할 힘의 크기와 방향Mass Mode (질량 모드) (Enum, 열거형) → 질량을 고려하는 방식 (Absolute (절대적) / Relative (상대적))Apply Mode (적용 모드) (Enum, 열거형) → 힘을 적용하는 방식 (Acceleration (가속도) / Force (힘))설정에 따른 효과:Absolute (절대적) → 질량을 무시하고 절대적인 힘 적용Relative (상대적) → 질량을 고려하여 상대적인 힘 적용Acceleration (가속도) → 질량과 관계없이 가속도 적용Force (힘) → 질량을 고려한 힘 적용2. Add Velocity..
-
파티스 초기 설정 (파티클 스폰)의 옵션 설명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11. 15:54
🎮 Niagara 설정 정리1. Niagara의 위치(포지션) 및 스케일 설정 옵션 정리Niagara에서는 파티클의 위치(Position), 스케일(Scale) 등을 설정할 때 여러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각 옵션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면 더 정교한 VFX를 만들 수 있습니다.설정 옵션 의미(영어 원문 포함) 설명Uniform (유니폼)"Uniform" = 균일한모든 축(X, Y, Z)에 같은 값을 적용 (예: 크기 조절 시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비율로 변화)Direct (다이렉트)"Direct" = 직접적인특정 축(X, Y, Z)에 개별적으로 값을 지정 가능User Set (유저 세트)"User Set" = 사용자 설정유저가 직접 정한 값이나 블루프린트에서 전달된 값 사용Random (랜덤)"Ran..
-
나이아가라 시스템 이미터의 실제 활용 예제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6. 17:07
1. 나이아가라 시스템과 이미터의 관계나이아가라 시스템(Niagara System): 여러 개의 **나이아가라 이미터(Niagara Emitter)**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합니다.나이아가라 이미터(Niagara Emitter): 실제로 파티클을 생성하고, 동작을 정의하는 개별 요소입니다.지금까지는 스프라이트(Sprite) 렌더러만 추가했기 때문에 아직 화면(Viewport)에 파티클이 보이지 않습니다.2. 나이아가라 이미터의 주요 단계강의에서는 나이아가라 이미터의 다양한 단계(Stages)를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이미터(Emitter) 관련 단계: 이미터가 전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동작할지를 결정합니다.파티클(Particle) 관련 단계: 개별 파티클의 생성과 업데이트를 조정합니다.이러한 ..
-
나이아가라 이미터의 구조 및 작동 과정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5. 17:32
🎇 언리얼 엔진 Niagara: Selection Stack Model 완벽 정리 🎇Niagara는 언리얼 엔진에서 강력한 파티클 시스템을 제공하는 툴로, 기존 Cascade보다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이 글에서는 Niagara Selection Stack Model의 개념과 실행 흐름을 정리하고, 실제 에디터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합니다.✅ 1. Niagara Selection Stack Model이란?Niagara Emitter와 Selection Stack Model의 관계:Niagara Emitter: 파티클의 생성, 속성, 동작 등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합니다.Selection Stack Model: Emitter 내에서 특정 기준에 따라 파티클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티..
-
언리얼 엔진 기반의 VFX (시각효과)의 구성요소와 각 요소의 설명컴퓨터 3D 그래픽/언리얼엔진 2025. 2. 5. 17:13
Unreal Engine VFX Effect Development Structure (Niagara System & Material)1. Unreal Engine 개요Unreal Engine은 Epic Games에서 개발한 고급 게임 엔진으로, VFX(Visual Effects) 개발에 최적화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중 Niagara System과 Material은 VFX 이펙트 제작의 핵심 요소입니다.2. Niagara SystemNiagara System은 Unreal Engine의 차세대 파티클 이펙트 시스템으로, 복잡한 시뮬레이션과 시각 효과를 직관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2.1 System (시스템)정의: 여러 개의 Emitter를 포함하는 이펙트의 최상위 구조입니다.기능: Emi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