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플라스크 객체 gweb/flask 2019. 11. 18. 20:46
플라스크는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기능들이 존재함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기능들을 다룰려고 함 Global Object : g from flask import g 플라스크라는 모듈에서 g라는 전역 변수를 받음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음 from flask import Flask,g app = Flask(__name__) app.debug = True # 이제부터 app.~~ 형식으로 필요한 부분을 하나씩 추가하면 됨 @app.before_request # request 요청을 처리하기전에 한번 어떠한 동작을 해달라고 하는 부분 # 즉 어떠한 요청이 들어오더라도 before_request는 무조건 한번 타게 됨 def before_requset(): print("before_request!!!") g.str = ..
-
플라스크의 구동 방식web/flask 2019. 11. 18. 18:42
플라스크라는 웹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공간에 떠있는 상태임 현재 웹 애플리케이션은 연습용으로 생성한 flaskapp 디렉터리가 있음 해당 공간은 메모리임 즉 웹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라는 공간에서 띄어준 것 메모리에 떠있는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은 계속 한 곳을 쳐다보고 있음 쳐다 보고있는 곳이 바로 포트임 플라스크 웹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때 포트를 만약 5000 번을 지정해주었다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5000번 포트를 메모리에서 계속 지켜보고 있다가 만약 5000번 포트로 URL 요청이 들어온다면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서 MVC의 패턴대로 내부가 실행 되고 눈에 보이는 결과를 출력 그렇다면 위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라는 곳에 띄어 줄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그것이 바로 처음에 웹 서버 애플..
-
M.V.C 패턴web 2019. 11. 18. 18:02
애플리케이션을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디자인 패턴 Model : 객체 -> 데이터를 담당 테이블 사용자에 대한 객체라면 사용자의 id, pw의 값 즉 유저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View : 템플릿 -> 시작적인부분 담당 html Controller : 라우터의 역할 Class가 정의 되어 있으며 해당 클래스의 매서드는 각 URL에 해당하는 매서드가 정의 URL별로 있는 매서드는 모델을 호출해서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뽑아오고 뷰를 통해서 화면에 뿌려줌 예시) url : login/ -> login이라는 매서드 url : home/ -> home_page라는 매서드 사용자가 URL 요청을 하게 되면 컨트롤러는은 해당 URL을 가지고 사용자의 요구사항 파악한뒤 템플릿과 뷰의 내용을 현재 요구사항에 ..
-
플라스크 기본 설치web/flask 2019. 11. 18. 16:56
pip install flask 설치한 뒤 기본적인 디렉터리 생성 구조는 다음과 같음 최상위 디렉터리 pyweb 하위 디렉터리로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할 디렉터리 생성 즉 분리시켜서 여러개의 웹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음 1. hello flask : 서비스할 웹 애플리케이션 ( 연습용 목적 ) 2. blog : 서비스할 웹 애플리케이션 ( 블로그 서비스 ) 3. start_flask : 웹 __init__.py을 등등으로 자신이 서비스할 경우에 따라 나누어 주며 포트로 나누어서 사용 EX ) 1번 애플리케이션은 5000번 포트 할당후 사용 2번 애플리케이션은 8000번 포트 할당후 사용 위와 같이 모든 동적인 웹 서비스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을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한다. 웹 서버 -> 정적인 결과물을..
-
재귀함수란 ?매일프로그래밍 2019. 11. 18. 13:53
재귀함수란 ? 함수내에서 다시 함수(본인)를 호출하여 사용하는 함수 사용시 메모리 스텍이 계속 쌓이면서 탈출 루프를 마련하지 않으면 스텍이 넘치면서 오류 발생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할 때 주로 사용 되며 for,while 과 같이 반복문으로 대체가 가능 재귀할때에는 식을 쭉 작성해 놓고 재귀함수가 끝나는 지점에서 작성한 식을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산 예시 def sum(n): if n == 0: return 0 return n + sum(n-1) sum(4) 사진 출처 : https://wayhome25.github.io/cs/2017/04/15/cs-16-1-recursion/ 강의노트 15-1. 재귀함수(피보나치, 하노이의 탑, 최소공배수 등) ·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 패스트캠퍼스 컴퓨터공학 입문..
-
자료구조란 ?컴퓨터 공학 기초/자료구조 ( Data Structure ) 2019. 11. 12. 15:33
자료구조 - 컴퓨터에 데이터 자체를 저장할 때에는 - 참 / 거짓,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함 - 하지만 데이터를 가지고 가공, 분석 등의 일을 하려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해야 함 - 이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구조화해서 저장 하는 방법들을 자료구조라고 침 함 EX ) 자료구조 1. 배열 ( 리스트 ) : 데이터 여러 개를 줄 세워둘 공간을 미리 만들고 그 공간들에 저장 2. 연관 배열 ( 딕셔너리 ) : Key - Value로 데이터를 짝지어서 저장 3. 연결 리스트 : 배열의 단점 극복을 위해, 기차놀이하듯 데이터들이 연결됨 정보들이 연결되어 있음 즉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다음 데이터가 저장될 위치 값을 가지고 있음 4. 스택 : 데이터를 담았다가 꺼내 쓰는 구조 ( ..